시신경위축은 시신경이 모여 뇌로 들어가는 지점인 시신경유두(맹점)가 퇴색해 시력이 감퇴하는 질환입니다. 이 글에서는 시신경위축의 증상, 발병 메커니즘, 원인, 치료법,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시신경위축 증상
시신경위축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심시력 감소: 중심시력은 물체의 세부적인 모양이나 색깔을 구분하는 능력입니다. 중심시력이 감소하면 글자 읽기나 얼굴 인식 등이 어려워집니다.
- 주변시력 감소: 주변시력은 중심시야 외의 부분을 볼 수 있는 능력입니다. 주변시력이 감소하면 양쪽 눈의 바깥쪽 시야나 안쪽 시야가 사라지거나 좁아집니다.
- 색각 장애: 색각 장애는 색깔을 구분하는 능력이 저하되는 것입니다. 특히 빨간색과 초록색을 구분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광과민: 광과민은 밝은 빛에 대해 과도하게 반응하는 것입니다. 밝은 빛을 보면 눈이 아프거나 눈부심을 느낍니다.
- 시신경위축 발병 메커니즘
2. 시신경위축 메커니즘
시신경위축의 발병 메커니즘은 다양한 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시신경에 산소나 영양분이 부족하게 되어 시신경 세포가 손상되고 죽는 과정을 거칩니다. 시신경 세포가 죽으면 시신경의 직경이 줄어들고, 시신경유두가 희미해지고, 시신경 섬유층이 두꺼워집니다. 이러한 변화는 안저검사나 시야검사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시신경위축 원인
시신경위축의 발병 메커니즘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시신경위축의 원인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보겠습니다.
3.1 외상성 시신경위축
외상성 시신경위축은 머리 부상이나 눈 부상 등으로 인해 시신경이 직접적으로 손상되는 경우입니다. 시신경이 찢어지거나 눌리거나 절단되면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산소나 영양분이 전달되지 않습니다. 이때 시신경 세포는 괴사(neurosis)라는 과정을 통해 죽게 됩니다. 괴사는 세포가 폭발적으로 파괴되는 것으로, 염증 반응을 일으키고 주변 조직에도 영향을 줍니다.
3.2 허혈성 시신경위축
허혈성 시신경위축은 혈액 공급이 감소하거나 막히는 원인으로 인해 시신경에 산소나 영양분이 부족해지는 경우입니다. 혈액 공급의 감소나 막힘은 고혈압, 당뇨병, 죽상 경화증, 혈전, 혈관염 등의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시신경 세포는 아포토시스(apoptosis)라는 과정을 통해 죽게 됩니다. 아포토시스는 세포가 자살하는 것으로, 염증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주변 조직에도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3.3 염증성 시신경위축
염증성 시신경위축은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등의 감염이나 면역 반응에 의해 시신경에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염증은 시신경의 기능을 방해하고 손상시키며, 염증성 물질들이 혈액을 탁하게 만들어 혈액 공급을 저하시킵니다. 이때 시신경 세포는 괴사와 아포토시스의 혼합된 과정을 통해 죽게 됩니다.
3.4 유전성 원인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시신경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레버씨 시신경위축증(Leber hereditary optic neuropathy)은 사립체 유전자(미토콘드리아 DNA)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희귀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18-30세라는 젊은 연령층에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남성환자가 80%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시신경위축 치료법
시신경위축의 치료법은 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시신경위축은 시신경 세포가 죽어서 되돌릴 수 없는 상태이므로, 시력을 완전히 회복시키는 것은 어렵습니다. 하지만 원인을 제거하고 남아있는 시신경 세포의 기능을 보호하고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시신경위축의 치료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4.1 수술
- 외상성 원인: 머리 부상이나 눈 부상 등으로 인해 시신경이 손상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시신경이 찢어지거나 절단된 경우에는 시신경을 재결합하는 수술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수술은 매우 어렵고 성공률이 낮습니다. 시신경이 눌리는 경우에는 압박을 해소하는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뇌하수체 종양이 압박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².
4.2 약물치료
- 허혈성 원인: 혈액 공급이 감소하거나 막힌 경우에는 혈액 공급을 증가시키고 혈관의 특성을 개선하는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고혈압, 당뇨병, 죽상 경화증 등의 질환으로 인해 발생한 경우에는 이러한 질환을 조절하는 약물을 복용해야 합니다.
혈전이 혈관을 막은 경우에는 혈전 용해제나 항응고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혈관염이 원인인 경우에는 스테로이드나 면역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염증성 원인: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등의 감염이나 면역 반응으로 인해 발생한 경우에는 감염원을 제거하고 염증을 억제하는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매독이 원인인 경우에는 항생제를 사용하고, 다발성 경화증이 원인인 경우에는 면역억제제나 면역조절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4.3 재생의학적 유전자 치료
- 유전성 원인: 레버씨 시신경위축증(Leber hereditary optic neuropathy) 같은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한 경우에는 유전자 치료나 줄기세포 치료와 같은 재생 의학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5. 시신경위축 예방법
시신경위축은 시신경 세포가 죽어서 되돌릴 수 없는 상태이므로,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시신경위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머리 부상이나 눈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한 환경에서 활동하고, 필요한 경우 안전모나 안경 등을 착용합니다.
- 고혈압, 당뇨병, 죽상 경화증 등의 질환을 조절하고, 흡연이나 과음을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합니다.
- 매독이나 기생충 등의 감염성 질환을 예방하고, 발생한 경우에는 적절한 치료를 받습니다.
- 녹내장이나 뇌하수체 종양 등의 질환으로 인해 뇌압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정기적인 검진과 치료를 받습니다.
- 다발성 경화증이나 레버씨 시신경위축증과 같은 유전성 질환의 경우에는 가족력을 파악하고, 가능한 경우 유전자 검사를 받습니다.
- 시력이 감퇴되거나 시야가 좁아지는 증상이 있으면 즉시 안과 전문의에게 상담하고 치료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