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성근시와 진성근시의 차이점과 극복 방법

by tomato color 2023. 6. 24.
반응형

가성근시는 눈의 조절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일시적으로 근시가 되는 현상입니다. 이 글에서는 가성근시의 증상, 발병 메커니즘, 원인, 치료법,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성근시-알아보기
가성근시 알아보기

목차

    1. 가성근시 증상

    가성근시는 근거리 작업을 오랜 시간 하거나 눈의 피로가 심할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성근시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원거리 시력 감소: 먼 곳이 흐릿하게 보이거나 글자가 선명하지 않게 보입니다.
    • 눈의 피로와 통증: 눈이 쉽게 피로해지거나 아프거나 따끔거립니다.
    • 두통과 어지러움: 머리가 아프거나 어지러워집니다.
    • 구토: 심한 경우에는 구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가성근시 발병 메커니즘먼 곳을 볼 때는 수정체를 감싸고 있는 모양체 근육이 이완되어 수정체가 얇아지고, 근거리를 볼 때는 모양체 근육이 수축되어 수정체가 두껍게 됩니다. 이렇게 수정체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망막에 초점이 잘 맺힙니다.이렇게 되면 원거리를 볼 때에도 망막보다 앞쪽에 초점이 맺히게 되어 근시 상태가 됩니다. 이것이 가성근시의 발병 메커니즘입니다.

    2. 가성근시와 진성근시의 차이점

    가성근시와 진성근시는 둘 다 먼 곳이 흐리게 보이는 증상을 나타내지만, 그 원인과 치료법이 다릅니다.

    2.1 진성근시

    안구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수정체의 굴절력이 강해져서 영구적으로 근시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진성근시는 모양체 근육의 이완과 관련이 없으며, 근거리 작업을 줄여도 자연스럽게 호전되지 않습니다. 진성근시는 안경이나 렌즈를 써야 시력이 교정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시력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2.2 가성근시

    눈의 조절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일시적으로 근시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가성근시는 모양체 근육을 이완시키고 근거리 작업을 줄이면 자연스럽게 호전될 수 있습니다. 가성근시는 안경을 쓰지 않고도 좋아질 수 있으며, 안경을 쓰면 오히려 영구적인 근시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근거리 작업을 오랜 시간 하거나 눈의 피로가 심할 때에는 모양체 근육이 과도하게 수축되어 수정체가 지나치게 두꺼워집니다. 이때 원거리를 볼 때에도 모양체 근육이 쉽게 이완되지 않아 수정체가 계속 두꺼운 상태로 유지됩니다.

     

    < 대한안과의사회 : 우리동네 안과 찾기 >

    우리동네 안과찾기 - 바로가기

    3. 가성근시 원인

    가성근시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지만, 대체로 눈의 조절력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이 주요 원인입니다. 눈의 조절력이란 먼 곳과 가까운 곳을 번갈아 보면서 수정체의 두께를 조절하여 망막에 초점을 맞추는 능력을 말합니다.

    • 근거리 작업을 오랜 시간 하거나 자주 하기: 독서, 컴퓨터, 스마트폰, 비디오 게임 등의 근거리 작업을 하면 눈의 모양체 근육이 수축되어 수정체가 두껍게 됩니다. 이때 먼 곳을 볼 때에도 모양체 근육이 쉽게 이완되지 않아 수정체가 계속 두꺼운 상태로 유지됩니다. 이렇게 되면 원거리를 볼 때에도 망막보다 앞쪽에 초점이 맺히게 되어 근시 상태가 됩니다.
    • 잘못된 독서 자세: 엎드려서 책을 읽거나 책과 눈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눈의 조절력에 부담이 가해집니다. 적절한 독서 자세는 책과 눈 사이의 거리를 30~40cm 정도로 유지하고, 책은 탁자 위에 세워서 읽는 것입니다.
    • 부족한 조명: 어두운 곳에서 책을 읽거나 컴퓨터를 사용하면 눈에 들어오는 빛이 부족하여 더욱 강한 조절력이 필요합니다. 이때도 모양체 근육이 과도하게 수축되어 가성근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충분한 조명을 확보하고, 반사되는 빛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유전적 요인: 가성근시는 유전적 요인도 작용할 수 있습니다. 부모나 형제 중에 가성근시가 있는 경우 자녀나 동생의 가성근시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4. 가성근시 치료법

    가성근시는 일시적인 근시 상태이므로 안경을 쓰지 않습니다. 안경을 쓰면 모양체 근육이 풀어지지 않아 영구적인 근시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성근시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눈의 조절력을 이완시키고 근육의 긴장도를 낮추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4.1 안약

    안과 의사는 가성근시를 치료하기 위해 아트로핀 점안액을 처방할 수 있습니다. 이 점안액은 취침 전에 사용해야 합니다. 아침이나 낮에 사용하면 동공이 확대되고 조절 기능이 감소하여 시야가 흐려지고 눈이 부시어 활동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점안액은 모양체 근육을 일시적으로 마비시켜 눈의 조절력을 이완시킵니다. 이 점안액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원거리 시력이 흐려지므로 원거리 안경을 착용해야 합니다.

    4.2 시력 훈련

    시력 훈련은 눈의 조절력을 향상시키고 근육의 긴장도를 낮추는 운동입니다. 시력 훈련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 먼 곳과 가까운 곳을 번갈아 보기: 먼 곳과 가까운 곳을 번갈아 보면서 눈의 초점을 바꾸는 운동입니다. 먼 곳은 5m 이상 떨어진 곳으로, 가까운 곳은 30cm 정도 떨어진 곳으로 선택합니다. 먼 곳과 가까운 곳을 각각 3초씩 보고, 10회 반복합니다.
    • 손가락 따라가기: 한 손의 손가락을 눈 앞에 들고, 다른 손의 손가락을 멀리 들어 올립니다. 한 손의 손가락에서 다른 손의 손가락으로 눈의 초점을 바꾸면서 따라가는 운동입니다. 손가락의 거리와 방향을 바꿔가면서 10회 반복합니다.
    • 물체 따라보기: 물체를 들고 눈 앞에서 멀리까지 움직이면서 따라보는 운동입니다. 물체는 작고 선명한 것으로 선택합니다. 물체를 가까운 곳에서 시작하여 점차 멀리 이동시키면서 따라보고, 다시 가까운 곳으로 되돌아오면서 따라봅니다. 10회 반복합니다.

    5. 가성근시 예방법

    가성근시는 눈의 조절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발생하는 일시적인 근시 상태입니다. 가성근시는 방치하게 되면 모양체 근육의 수축으로 인하여 눈의 피로도가 높아지며 안통, 두통, 어지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안경을 착용할 경우 영구적인 진짜 근시가 될 수 있습니다.

    • 근거리 작업을 적절하게 하기: 독서, 컴퓨터, 스마트폰, 비디오 게임 등의 근거리 작업을 하면 눈의 모양체 근육이 수축되어 수정체가 두껍게 됩니다. 이때 먼 곳을 볼 때에도 모양체 근육이 쉽게 이완되지 않아 수정체가 계속 두꺼운 상태로 유지됩니다. 이렇게 되면 원거리를 볼 때에도 망막보다 앞쪽에 초점이 맺히게 되어 근시 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근거리 작업을 오랜 시간 하거나 자주 하기보다는 적절한 시간과 간격을 두고 하여야 합니다. 특히 학습 시간이 많고 컴퓨터 사용 시간이 긴 학생들의 경우 5010법칙을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50분 집중하고 10분 눈에 휴식할 시간을 주는 것입니다.
    • 올바른 독서 자세: 엎드려서 책을 읽거나 책과 눈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눈의 조절력에 부담이 가해집니다. 적절한 독서 자세는 책과 눈 사이의 거리를 30~40cm 정도로 유지하고, 책은 탁자 위에 세워서 읽는 것입니다.
    • 충분한 조명: 어두운 곳에서 책을 읽거나 컴퓨터를 사용하면 눈에 들어오는 빛이 부족하여 더욱 강한 조절력이 필요합니다. 이때도 모양체 근육이 과도하게 수축되어 가성근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충분한 조명을 확보하고, 반사되는 빛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유전적 요인: 가성근시는 유전적 요인도 작용할 수 있습니다. 부모나 형제 중에 가성근시가 있는 경우 자녀나 동생의 가성근시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반응형